한미글로벌 블로그의 새로운 소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
No.38 ·2025-08-06
AI 대전환 시대, 데이터센터 건설산업의 미래
최근 AI와 빅데이터 기술의 급속한 확산으로 전 세계 데이터센터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는 주택 등 전통적인 건축물에 비해 수익성이 뛰어나 국내외 건설사들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형 건설사들은 데이터센터 건설을 넘어 운영까지 아우르는 신사업에 적극 진출하며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AI 시대를 이끄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로 주목받는 데이터센터 건설의 개념과 기술, 그리고 향후 시장 전망에 대해 살펴봅니다. 첨단 인프라의 심장, 데이터센터 데이터센터는 수십만 대의 서버와 첨단 네트워크 장비가 24시간 멈추지 않고 가동되는 곳으로 현대 디지털 사회.......
-
No.37 ·2025-07-22
손안에서 펼쳐지는 스마트 건설 현장, 디지털 전환으로 안전과 품질을 강화하다
건설사업관리(PM) 전문기업 한미글로벌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건설 패러다임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건설 현장의 안전과 품질을 높이는 스마트 솔루션부터,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플랫폼까지, 한미글로벌은 디지털 전환을 통해 건설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 시리즈에서는 한미글로벌의 다양한 디지털 솔루션과 실제 적용 사례, 그리고 스마트 건설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 기술을 소개합니다. 건설 현장의 안전과 품질 확보는 건설사업관리(PM)의 핵심 과제입니다. PM은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 요소와 품질 이슈를 미리 파악하고 예방하며, 모든 작업이 계획한대로 정확하게 진행되도록 철.......
-
No.36 ·2025-07-22
[제124편] 오랜 ‘다운’ 후 ‘업’으로 돌아선 뉴욕 호텔 시장
객실당 수익 미국 내 평균보다 2배 이상 뉴욕 방문객 늘고 단기 임대 규제 영향 최근 올해 10월 아이들 봄방학을 대비해 뉴욕 여행을 미리 계획했다. 비행기를 검색하고, 머물 호텔을 알아보면서 경악했다. 가격 때문이다. 맨해튼은 하루 객실료가 350달러 이하의 호텔이 없었다. 호텔 가격 때문에 심각하게 여행 취소나 경로 변경을 고려했다. 뭔 일이지. 멀리서 전해만 들었던 뉴욕 호텔 시장의 호황을 몸으로 체감하는 순간이었다. 그리고 불과 3-4년 전의 일들이 떠올랐다. 팬데믹 직후 뉴욕에 투자한 호텔이 문제가 생겼다며 걱정하던 한국 기관 투자자들이 많았다. 푸념하듯 필자에게 전화해 조언을 구하는 투자자들도 있었다. 뉴욕이 팬데.......
-
No.35 ·2025-07-21
폐기된 화물창고가 창조하는 메이드 인 브리스톨 [Vol. 20 영국/브리스톨(Bristol)]
브리스톨은 항구다 섬나라인 영국에서 항구는 중요한 기반시설이므로 무려 400개가 넘는 항구가 건설되었다. 한때 리버풀과 브리스톨이 수도인 런던과 경쟁할 만큼 번영했던 이유다. 그러나 수백 년 동안 지역 경제를 지탱했던 대부분 항구가 20세기 중반을 넘어서면서 쇠퇴했다. 유럽으로 범위를 좁히면 크게 두 가지 원인이 공통으로 작용했다. 첫째, 제2차 세계대전 동안 항구에 폭격이 집중되었다, 항구가 물류 수송 허브이자 군사적 요충지이므로 최우선 공격 대상이었다. 둘째, 후기산업시대에 접어들면서 항만의 기능과 역할이 축소되거나 상실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와 도시의 번영을 주도했던 항구가 오히려 쇠퇴의 원인으로 전락했다. .......
-
No.34 ·2025-07-16
한미글로벌, 통일한반도건설전략연구소 신임 소장에 이상준 전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임명
30년간 독일 통일 과정 연구한 국내 대표 통일연구 및 한반도 국토개발 분야 전문가 국내 1위 PM(건설사업관리) 전문기업 한미글로벌은 산하의 통일한반도건설전략연구소 신임 소장으로 이상준 전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을 신규 선임했다고 16일 밝혔다. 이상준 소장은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도시계획 석사 과정을 마친 뒤, 독일 베를린공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국토연구원에서 한반도∙동북아연구센터장,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장, 부원장을 역임하며 통일 대비 국토개발계획수립과 통일독일 연구, 북한 도시 및 지역개발 정책 연구 등 30여 년간 통일 대비 연구에 헌신해온 한반도 국토개발 분야의 전문가이다. 한.......
-
No.33 ·2025-07-16
3D 프린팅으로 집을 지을 수 있을까?
3D 프린팅은 이제 우리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혁신 기술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작은 모형부터 생활용품, 심지어 의료기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물건을 볼 수 있는데요, 최근에는 이 기술이 건축 분야로 확장되며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작은 물건 제작과는 달리, 과연 3D 프린팅으로 커다란 집을 지을 수 있을까요? 3D 프린팅 건설의 개념과 실제 사례, 장단점, 그리고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알아봅니다. 디지털 설계가 보여준 새로운 가능성 플라스틱 장난감, 맞춤형 의료 보조기,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미 상용화된 3D 프린팅은 복잡한 구조나 제품을 빠르고 효율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