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휴가기

일과 휴식은 대립적인 가치가 아니라 상관적 조화를 이뤄야 합니다.

2010-06-03

Friedensreich Hundertwasser

조회 수 1435 페이스북트위터 Email

 Friedensreich Hundertwasser


Friedensreich Regentag Dunkelbunt Hundertwasser (1928. 12. 15. - 2000. 2. 19.)는 오스트리아 화가이자 건축가이다. 비엔나에서 Friedrich Stowasser란 이름으로 태어난 그는 모든 논란에도 불구하고 20세기 말까지에 있어서 가장 잘 알려진 근대 오스트리아 작가이다.


생애


아버지인 Ernst Stowasser는 Hundertwasser가 한 살이 되던 해 사망한다. 2차 세계대전은 Hundertwasser와 유태인이었던 그의 어머니 Elsa에게 있어서 어려운 시기였다. 하지만 그의 아버지가 생전에 천주교신자였기 때문에 그들도 천주교신자 행세를 하여 박해를 피할 수 있었다. 의심을 받지 않기 위해 Hundertwasser는 히틀러 유겐트에 가입하기도 했다.


Hundertwasser는 예술적 소질을 분명하게 보이기 시작했으며 전쟁이 끝난 후 그는 비엔나의 Academy of Fine Arts에서 3개월을 보냈다. 이 때부터 그는 자신의 작품에 Stowasser라는 본명대신 Hundertwasser라는 이름으로 서명하기 시작했다. 눈을 끄는 것은 그 무엇이라도 스케치하기 위해서 그림도구를 항상 챙겨 들고 여행 다니는 것을 즐겼다. 1952년 3월 비엔나의 전시회에서 그는 처음으로 화가로서 성공을 맛보게 된다.


Hundertwasser라는 성은 슬라브어 sou와 같은 의미인 100을 가리키는 독일어 hundert에 기인한 것이었으며 이름인 Friedensreich는 평화의 땅 peaceland 혹은 평화로운 peacerich라는 중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가 종종 쓰곤 한 다른 이름으로서는 Regentag와 Dunkelbunt가 있었는데 각각 Rainy Day와 Darkly multicoloured라는 의미로 그의 예술적 취향을 엿볼 수 있다.


Hundertwasser는 1958년 Herta Leitner와 결혼하였으나 2년 후 곧 이혼하였다. 그는 1962년 재혼하였으나 1966년 다시 이혼하였다. 이때 이미 그는 예술가로서 널리 잘 알려져 있었다.


Friedensreich_01(0).png


그는 1950년대 초 건축으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 Hundertwasser는 건축뿐만 아니라 깃발, 우표, 동전, 포스터 디자인 등 실용디자인도 했다. 그가 디자인 한 깃발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마오리족의 모티브에서 따온 뉴질랜드 국기 디자인이었던 Koru Flag이다. 오스트리아 체신청을 위한 우표뿐만 아니라 그는 Cape Verde Islands와 제네바 국제 연합의 세계인권선언 35주년 기념 우표도 디자인하였다.


Hundertwasser는 뉴질랜드를 그의 공식적인 거주지로 생각하였고 세계 어디를 가든 그의 시계는 뉴질랜드 시간에 맞춰져 있었다. 그가 71세가 되던 2000년 퀸 엘리자베스 2세 호에서 사망한 후 그의 시신은 뉴질랜드에 옮겨져 그 곳에 묻혔다.


예술적 성향과 주제

Hundertwasser의 독특하고 규칙에 얽매이지 않는 예술적 성향은 그의 회화, 환경보호주의, 철학, 건축입면의 디자인, 우표, 깃발, 의류 등 모든 분야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그의 작품에서 공통된 주제로서 밝은 색, 유기적인 형상, 인간과 자연의 조화, 강한 개성주의, 직선의 거부 등을 들 수 있다.



Friedensreich_02(0).png


그의 건축성향은 유기적 형태와 타일의 사용에 있어서 *Antonio Gaudi (1852-1926)  와 종종 비교되기도 하지만 그에게는 그만의 독특한 점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는 또한 비엔나 **제세션 Vienna Secession 운동 으로부터 특히 오스트리아 화가인 Gustav Klimt (1862-1918)와 Egon Schiele (1890-1918)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그는 나선형에 매료되었으며 직선을 악마의 도구라고 불렀으며 그의 예술이론을 초현실주의 작가들의 자동기술법 ***Surrealist automatism 에 빗대어 transautomatism이라고 불렀으나 작가자신 보다는 감상자의 경험에 더 중점을 두었다.


------------------------------------------------------------------------------------------------------------------------------------------
*바르셀로나 출신의 건축가로 자유롭게 흐르는 선의 형태를 3차원의 표현력을 갖는 건축으로 전환시킨 아르누보 건축가중 가장 독창적인 건축가이자 디자이너이다. 그는 자연에서 디자인 모티브를 얻어 유추한 형상을 시각적, 공간적 표현으로 사용하였으며 그리고 인체의 골격을 바탕으로 디자인을 유추해내기도 하여 현대건축의 표현주의적이고 초현실주의적인 경향을 예시하였다.


**1897년 오스트리아 예술가연맹에서 탈퇴한 화가, 조각가, 건축가 등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기존의 것에 얽매이지 않은 새로운 형식의 예술을 추구하였다.


***무의식의 세계를 작품에 투영하려는 초현실주의의 의도를 나타낸 대표적 기법. 

------------------------------------------------------------------------------------------------------------------------------------------


건축


Hundertwasser는 과감한 채색의 회화를 통해 첫 주목을 받게 되었으나 건축디자인으로 인해 더 널리 알려 지게 되었다. 그의 작품들은 비정형적인 형태와 자연에서 따온 요소들을 지니고 있다. 그 예로 비엔나의 Hundertwasser House에는 물결치는 바닥, 잔디와 흙으로 덮인 지붕, 창 밖으로 자라 나온 나무 등을 들 수 있다. 그는 “그 대지에 들어 설 어떤 추한 것을 막기 위해”라며 Hundertwasser House의 디자인 비용조차도 받지 않았다.


Friedensreich_03(0).png


1950년대 초부터 그의 예술활동은 건축에 집중되게 되는데 이것은 선언문, 에세이 혹은 실제로 행동으로 보여 주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예로 그는 1958년 Seckau의 대수도원에서 열린 예술과 건축행사에서 건축의 합리주의에 맞서는 진부함 선언문 Mouldiness Manifesto against Rationalism in Architecture을 크게 소리 내어 읽기도 했다. 그는 창문권 Window Right를 요구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은 것이었다. “아파트의 창문 바깥쪽으로 팔이 닿는 범위 정도의 벽돌 부분을 벗겨 내고 긴 페인트 붓으로 색칠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 그래야만 그 옆집에 살고 있는 갇히고, 노예화되고, 규격화된 사람과는 다른 사람이 살고 있다는 것이 멀리서도 보일 것이기 때문이다.” 1967년 그는 제3의 피부에 대한 권리를 위한 나체 연설 Speech in Nude for the Right to a Third Skin을 하였으며 전통건축의 메마른 격자 시스템과 기계 생산된 상품들에 의한 인간의 노예화를 저주하였다. 1968년 비엔나의 Concordia 프레스클럽에서 ****Loos 로부터 벗어나 독자적인 건물의 수선을 허용하는 법이 아니면 건축을 보이콧하겠다는 선언문 Loose from Loos, A Law Permitting Individual Buildings Alterations or Architecture-Boycott Manifesto을 통해 합리주의와 직선, 기능적인 건축을 거부하였다.


Hundertwasser는 인간의 불행은 오스트리아 건축가 Adolf Loos의 전통에 근거한 합리적이고 메마르고 단순반복적인 건축에 의한 것이었다고 믿었다. 그는 그런 형태의 건축을 보이콧하였으며 그 대신 건축의 자유로움과 독자적인 구조의 창조에 대한 권리를 요구하였다.


1972년 그는 당신의 창문권 ? 당신의 나무 의무 Your window right ? your tree duty 선언문에서 도시환경에서 나무를 심는 것은 의무사항이며 “만약 자연과 더불어 살려는 자는 자연의 손님임을 인식하고 그에 합당하게 행동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했다.


------------------------------------------------------------------------------------------------------------------------------------------
****Adlof Loos, 아르 누보의 장식적 경향에 반대하고 합리주의적 디자인 이론을 주창한 최초의 건축가중 한 사람. 그의 저서로는 장식과 죄악 Ornament and crime (1908) 있다.
------------------------------------------------------------------------------------------------------------------------------------------


Friedensreich_04(0).png



1970년대 Hundertwasser는 그의 첫 건축모형을 지었다. 그 모형은 유로비전 TV 쇼 소원을 빌어봐 Wunsch Dir was를 위한 것이었는데 옥상조경과 뻗어 나온 나무 Tree Tenant와 그의 창문권을 예증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모형들에서 그는 새로운 건축 형태들, 예를 들어 나선형 주거, 테라스 주거, 고층의 목초지 주거 등을 개발하였다.


Friedensreich_05(0).png


그의 건축작품을 통해 Hundertwasser는 단순반복대신 다양함을, 격자시스템대신 속박 받지 않는 불규칙성을 가능케 하는 유기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Church of St. Barbara, Barnbach, 1984-1988



Friedensreich_06(0).png


전쟁이 끝난 후 1948-49년, Franz Derler 신부는 불충분한 자재와 어려운 여건 하에서 Barnbach에 성당을 지었다. 하지만 그것은 오랜 기간을 두고 교구 성당으로 사용하기에는 너무나도 초라한 것이었다.


교구사제는 Barnbach에서 작품활동을 하고 있던 유명한 우표제작가 Wolfgang Seidel를 통해 그와 친분관계에 있던 Hundertwasser에게 좀 더 나은 디자인을 의뢰하기로 하고 성당에 예술적 의미를 부여키로 하였다. Hundertwasser는 즉시 아무 대가 없이 일을 맡기로 하였으나 실제로 성당의 건축은 상당한 시간이 흘러야만 했다.


시장인 Konrad Bergmann은 이 프로젝트가 Barnbach에 있어서 역사적인 기회란 점을 인식하고 Hundertwasser 프로젝트를 위해 여러 방면으로 협력을 이끌어 낸 결과 교구의회와 Barnbach의 원로원은 만장일치로 프로젝트에 찬성하였으며 1987년 9월 17일 건축위원회는 프로젝트 건축을 승인하였다.


Hundertwasser의 아이디어는 성전의 모습을 새롭게 정의하였다. 입면의 상징들-십자가, 양, 비둘기, 펠리컨, 물고기, 술잔, 빵, 나무, 배, 예수의 상징, 심장, 닻, 알파, 오메가-은 그 상징들의 의미를 알고, 믿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스스로 그 의미 있는 것이 되어 나타날 것이며 하늘을 찌를 듯한 탑의 황금색은 영원을 상징하는 것이다. 재건축은 1987년 가을에 시작하여 1988년 여름에 마무리되었다.


Hundertwasser House, Vienna, 1977-86


Friedensreich_07(0).png


Hundertwasser House는 그 구조뿐만 아니라 색 다른 입면으로도 주변의 어떤 건물과도 달리 두드러져 보인다. 퀼트 작품에서와 같이 빨강, 파랑, 노랑, 흰색, 그리고 회색의 요소들이 합쳐져서 하나의 화려하고, 여러 부분들로 구성된 집합체를 이루고 있다. 밖으로 내민 창, 발코니, 건물 안에서 밖으로 자라 나온 나무, 타일, 유리조각,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의 창 들은 건물 입면에 독특함을 불어 넣고 있다.


각 세대들은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해져서 어느 하나도 같은 것이 없다. 이를 통해 Hundertwasser는 거주자들이 자신들의 집을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집안의 집’을 밖에서도 구별할 수 있기를 바랬다. 뿐만 아니라, 검은 선과 모자이크 타일로 된 띠는 이를 더욱 분명하게 구분해 주고 있다.


입면에서 회색으로 칠해진 곳은 어린이 놀이터, 계단과 복도, 겨울정원, 업무공간, 카페테라스와 같은 공용공간이다.


이제 입면은 처음 오픈한 후 몇 년 만에 더 이상 그 상쾌하고 밝은 색으로 반짝이지 않는다. 날씨로 인한 훼손은 먼지와 매연과 더불어 세월에 걸쳐 그 흔적을 남겼다. 하지만 그것은 Hundertwasser가 의도한 바대로 모두 그대로 된 것이었다. 그는 특히 오래되고 비바람 맞은 입면만이 그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여 준다고 느꼈다. 그는 자연의 힘을 빌어 입면에 독특한 색을 더하게 했으며 이런 과정이 사람의 힘으로는 만들어 낼 수 없는 종류의 완벽하고 아름다운 그림을 만들어 내는 데 도움이 된다고 확신했다.

.

District Heating Plant Spittelau, Vienna, 1988-92


Friedensreich_08(0).png


Spittelau의 지역난방공장은 그 당시 새로 지어질 종합병원에 난방을 공급하기 위해 1971년 건립되었으며 같은 부지 내에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소각장도 같은 시기에 세워 졌다. 쓰레기 소각장에서 생산된 에너지는 지역난방의 열원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었다.


Hundertwasser는 소각장이 존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확신을 가진 후 공장 입면의 새로운 건축 디자인을 하기로 했다. 그는 공장건축이 주거건축만큼 우리의 삶의 터전에 있어서 큰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일반적으로 공장건축에 사용되는 재료들인 콘크리트, 철, 유리, 타일, 에나멜 등을 사용하여 입면을 구성하였다. 직선으로 뻗은 지평선 위에 안장모양의 굽은 지붕라인이 더해졌으며, 공장의 모서리마다에는 파란색의 기둥모양으로 장식이 되고 위로 갈수록 가늘어 지면 그 위에는 황금색의 구가 얹혀졌다. 불규칙한 체크무늬의 외벽에 기묘하게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서로 다른 크기의 창과 쓰레기 조각들을 상징하는 타일 장식들은 공장의 거대하고 위압적인 입면을 다소나마 아기자기하게 꾸미고 있다.


솟아 오르는 듯한 푸른 에나멜로 장식된 굴뚝은 깨끗한 공기와 물을 상징하고 있다. 쓰레기 트럭이 드나 드는 캐노피 위에는 큰 나무가 자라 나고 환기구 커버는 묘하게 Hundertwasser의 모자와 닮아 있다. 광섬유로 장식된 빛나는 황금색의 구와 두 개의 황금 띠가 둘려 있는 굴뚝은 비엔나의 랜드마크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더 낫고 아름다운 세상으로 나아감을 상징하고 있다.


Friedensreich_09(0).png



Vienna District Heating Plant - Office Building


Friedensreich_10(0).png


지역난방공장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으며 거대한 성냥 곽과 같이 생긴 사무실 건물은 원래 난방공장과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불행히도 낮은 건물들이 볼품 없이 사무실 건물에 더해졌을 때 이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 하지만 건물의 책임자 그룹들은 좀 더 상상력이 더 해진 모습을 원했다. Hundertwasser는 이에 간단명료한 해법으로서 사무실 건물 입면에 비엔나 지역난방 FernWarme Wien이라는 간판에서 에나멜 금속판으로 된 붉은 불길이 흘러 나와서 창들 사이를 불규칙하게 흘러 내리는 듯한 장식을 더했다. 불꽃은 친환경적인 쓰레기 소각장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건물 옥상에는 나무가 심어져 있으며 둘레에는 황금색의 구로 장식이 되었다.


The Rolling Hills, Blumau, Styria, 1990-97


Friedensreich_11(0).png


Bad Blumau시는 언덕이 많은 동부 Styria에 위치하여 Graz시로부터는 60km 떨어져 있다. 이 작은 휴양지는 Hundertwasser가 디자인한 40 헥타르의 면적에 달하는 “Rogner-Bad Blumau, Hotel & Spa”의 건설로 인해 지역에서 굉장히 유명해졌는데 사람이 살 수 있는 가장 큰 종합 예술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그 디자인은 1984년에서 1989년에 걸친 Hill and Meadow라는 실현되지는 못한 그의 초기 프로젝트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거기서 Hundertwasser는 이미 Hill House, Eye Slit House와 같은 형태의 주거를 착안하고 있었다. 


Friedensreich_12(0).png


개개의 주거와 온천 휴양 시설은 완벽하게 자연에 녹아 들어가 있다. 방문객들은 조경된 지붕 위에 서 있거나 주변 환경의 아름다운 전망을 즐길 수도 있다. 휴양지의 중앙에는 1,600 평방미터 넓이의 온천 지역이 있으며 다섯 개의 온천과 2개의 수영장 이외에 체육시설, 사우나, 일급 식당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방문객들은 총 244개 침대 규모의 Hundertwasser가 디자인 한 주거에 묵을 수도 있다. 도시 지역에서의 Hundertwasser가 디자인한 건물들은 주변 건물들로부터 그 독특함을 부각시키기 위해 대조적인 요소들을 가졌으나 여기서는 주변의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되었다.


Motorway Restaurant Bad Fischau, 1989-90


Friedensreich_13(0).png


이 휴게소는 비엔나로부터 40km 떨어진 외곽의 A2 고속도로 변에 위치하고 있다. 당시 소유주는 1970년대에 지어진 건물에 좀 더 많은 사람들을 끌 수 있는 독특한 외관을 부여하길 원했다. 완전히 새로운 건물을 짓는 대신 Hundertwasser와의 협의 끝에 기존 건물을 수선하기로 하였다. 기존 건물은 보기에 공장지역에서 손 쉽게 볼 수 있는 시설처럼 보였는데 회색에 우울하며 단순한 평지붕을 갖고 있었다. Hundertwasser에 의해 새롭게 디자인된 건물에서는 예전의 그 어떤 모습도 찾아 볼 수 없게 되었다. 휴게소는 친근하며 흥미로운 외관을 자랑하는 입면과 함께 지붕에는 녹지가 조성되었다. 화려한 타일로 장식된 기둥은 처마지붕을 받히고 있으며 그 위에 동그란 구 장식이 된 기둥이 건물외관을 틀로 짜 넣고 있다. 매혹적인 외관은 여행객들이 길을 떠나기 전 잠시 쉬고 갈 수 있도록 초대하는 듯 하다.

그 내부도 또한 Hundertwasser 스타일로 꾸며져 있다. 특히 아기자기한 화장실 인테리어는 볼 만하다. 입구에서부터 실제 사람 크기의 전통적인 화장실 시중의 모형이 방문객들은 맞이한다.

이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일화가 있다. 완성된 휴게소를 보고 Hundertwasser는 음료바 주위의 타일이 너무 평범한 패턴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는 타고난 독창성을 발휘하여 들고 있던 망치로 타일을 마구 두들겨 깨어 산산조각 내었다. 그 결과 완전하게 격자였던 패턴은 더 완벽한 Hundertwasser 스타일이 되었다.



KunstHausWien, 1989-1991


비엔나 3번 지구에는 Hundertwasser의 영구적인 회화작품 전시장이라 할 수 있는 과거 가구공장이었던 건물이 있다. 기존의 두 건물을 하나로 아우르는 재건축은 1989년에서 1991년까지 진행되었으며 Bank for Labour and Business의 지점장인 Walter Flottl이 건축 후원자역할을 했다. Hundertwasser는 최대한 기존 건물의 구성을 건드리지 않기 위해 노력했으며 가로 쪽으로 하여 전시공간에 추가적인 채광을 제공하는 돌출된 창이 있는 건물이 더했다. 또한 중정 쪽으로는 유리벽체로 둘러 쌓인 계단실이 추가되었다.


1991년 4월 9일 KunstHausWien이 공식적으로 개장했다. 1991년부터 2008년까지 어떤 공적자금이나 세금 등의 재정적 도움이 없이 순수하게 민간자본으로만 운영되었다. 2008년부터 KunstHausWien은 비엔나시의 4개 박물관 중 하나가 되었다. 총 전시공간은 4,000 평방미터이며 1층에는 매표소와 외투 보관소와는 별도로 기념품 가게와 카페, 식당이 있다. 2층과 3층에는 회화, 태피스트리, 건축모형 등 Hundertwasser의 작품이 전시되고 있으며 4층과 5층에는 국제전시 공간으로 마련되어 있다.


Friedensreich_14(0).png



Spiralriver-Hand, Drinking Fountain I, 1993-1994


Friedensreich_15(0).png


윤이 나는 다양한 종류의 자연석으로 이루어진 손가락을 펼친 거대한 손은 바닥으로부터 하늘을 향해 뻗어 오르고 있다. 상쾌한 물은 각 손가락 끝에서 솟아 나와 손가락에 파진 홈을 타고 내려 가서 손바닥에 이르러서는 소용돌이 모양으로 흘러서 마침내 사라진다. 식수대는 행인들에게 마실 물을 제공하며 잠시 쉴 수 있도록 손을 펼쳐 환영한다.


Fountain Ensemble in Zwettl, 1992-1994


Friedensreich_16(0).png


Zwettl은 비엔나로부터 차로 2시간 가량 걸리는 거리에 있는 남부 오스트리아의 북서쪽에 위치한 도시이다. 분수는 주 광장에 위치하고 있는데 시청이자 자치의회 건물인 교구 성당에 바로 면해 있다. Hundertwasser가 창조한 이 조형물은 두 개의 분수와 한 개의 파빌리온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그것들은 하나로 녹아 들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파빌리온은 방문객을 불러 들여 비나 햇살을 막아 주며 잠시 머물러 갈 수 있도록 해 준다. 식재된 파빌리온의 지붕은 네 개의 Hundertwasser 스타일의 기둥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일반적인 Hundertwasser 프로젝트치고는 파빌리온의 지붕을 제외하고는 녹색 공간이 제한적으로 쓰인 것이 특이한 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오스트리아 국외 프로젝트>


Kawakawa Public Toilet, New Zealand, 1997-1999


Hundertwasser는 Kawakawa 마을에 그만의 독특한 예술의 상징으로서 40년이 넘은 공중화장실을 헐고 1999년 새로운 공중화장실을 선보였다. 그는 세라믹 조각들, 재활용 병들, 콘크리트, 재활용 벽돌 등을 사용하여 특이한 공중화장실을 설계하였는데 색색의 화려한 세라믹 기둥과 풀이 자라나는 곡선의 지붕은 여유로운 뉴질랜드의 자연 속에 화려한 예술작품으로 그 모습을 드러냈다. 그 내부에는 재활용 유리병과 와인 병을 사용하여 그 위에 색을 입히고 창문에 붙였으며, 화장실 내부 벽과 바닥에는 불규칙한 모양과 사이즈의 타일들이 붙어 있어 이색적인 느낌이 물씬 풍긴다.


Kawakawa 화장실은 2002년과 2006년 최우수 화장실, 가장 아름다운 화장실로 선정되었으며 작은 광산마을 Kawakawa는 이제 밀려드는 관광객들로 호경기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안타깝게도 Hundertwasser는 공사가 끝나고 대중에게 소개된 후 얼마 지나지 않은 2000년 2월 세상을 떠났지만 Hundertwasser의 이름을 딴 화장실은 그가 남반구에 남긴 유일한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 예술성과 실용성을 함께 겸비한 이 공중화장실은 뉴질랜드에서 가장 아름답고 예술적인 화장실로 남아 있다.  


Friedensreich_17(0).png


“MOP” Maishima Incineration Plant, Japan, 1996-2001


Friedensreich_18(0).png


해안 부둣가 공장지대에 있는 오사카시의 마이시마 쓰레기 소각장의 120미터 높이 굴뚝을 포함한 전체 건물을 새롭게 디자인하는 작업을 맡은 Hunderwasser는 방문자들, 특히 학생들에게 쓰레기 문제에 대한 인식을 바로 하고 나아 가서는 쓰레기가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교육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놀이동산으로서 소각장을 새롭게 디자인하였다. 마이시마 쓰레기 소각장은 연간 초등학생들만 1만 5천명이상이 방문하고 2001년 설립 이후 25만 명 이상이 다녀 갔다.


마이시마 시청과 시의회는 소각장은 더럽고 냄새 난다는 선입견을 바꾸기 위해 비엔나로 공장 견학을 하는 등의 노력 끝에 Hundertwasser에게 쓰레기 소각장의 리노베이션을 의뢰했다고 한다.


환경을 파괴한 자리에 1만5천 그루의 나무를 심어 다시 자연을 회복하도록 하는 설계를 하였다.


The Forest Spiral of Darmstadt, Germany, 1995-2000


Darmstadt Building Association은 Hundertwasser에게 Darmstadt지역의 Burgerpark에 105세대의 공동주택을 디자인해 줄 것을 의뢰했다. Hundertwasser의 아이디어는 지붕에 나무가 심어진 소용돌이 모양의 건물이 대지에서 솟아 올라오는 형태로 그가 상상하는 미래 건축의 한 모습이기도 하다. 건물은 대지의 남서쪽 모퉁이로부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높아지기 시작해서 대지를 가로지른 다음 최종에는 9층 높이가 되어 대지의 북서쪽 모퉁이에 서 있는 41m 높이의 12층 타워와 만난다. 이 타워는 점차적으로 높아 지는 건물의 마무리로서 독특한 액센트 역할을 하고 있다. 입면의 디자인은 수백만 년에 걸쳐 쌓인 지층을 상징하는 것으로 대지가 형성된 역사를 말해 주고 있다.


사람들은 경사진 녹지 사이를 걷다 보면 알아 차릴 수 없는 사이에 점점 지상으로부터 멀어져 좀 더 높은 자연의 경지로 들어 서게 된다. 그들은 자신들이 서 있는 곳이 땅이 아니며 다른 이들의 살고 있는 건물 위 임을 순간 깨닫게 된다. 건물의 모든 곳은 쉽게 걸어서 접근할 수 있으며 건물의 형태로 인해 예상치 못했던 아름다움과 여기저기서 마주치게 된다.


Friedensreich_19(0).png


이번 여행중 훈데르트 바서 작품 방문은 12개로서 


4일째인 6월 6일 Zwettl의 분수와 파빌리온을 시작으로 

6월 7일 린츠역 시가지 중심부에 Spiralriver-Hand, Drinking Fountain I, Salzburg의 Rupertium (외관 Design)

6월 8일 Barnbach의 성Barbara교회(전면 리모델링), Bad Blumau의 온천단지(The Rolling Hills, 온천, 스파)신축, Bad Fischau의 Motorway Restaurant (기존 건물 Redesign)

6월 10일 Vienna 의 KunstHaus(기존 공장 리모델),

Village at the Hundertwasser House, Vienna (훈데르트 바서 하우스 주변의 주거, 상점 건축물군), 훈데르트 바서 하우스(Hundertwasser House, Wien, 신축)

6월 13일 비엔나, 열병합발전소(District Heating Plant), 

쓰레기소각장(리모델), District Heating Plant Office(외관 Redesign)를 견학하였다.


그의 건축 작품의 대부분은 기존 건축물을 새롭게 디자인하여 개조(Remodel)하거나 외관만 고치거나(Facade Re-Design)한 건축물이며 신축의 경우는 Bad Blumau의 온천단지, 훈데르트바스 하우스 정도였다.


또한 그는 화가를 하다가 건축 설계를 하였고 건축을 체계적으로 배울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항상 다른 건축가와 같이 작업하고 그는 주로 외관이나 Interior, 조경(Landscape)등의 디자인을 담당하고 공학적인 요소를 포함한 기술적인 뒷받침은 같이 참여한 건축가가 담당하였다. 오스트리아 프로젝트는 주로 Peter Pelikan 이란 건축가가 Planning Architect로서 역할을 했다.


그는 또한 환경운동가의 삶을 그의 후반기에 집중했다. 

훈데르트 바서는 자연 속에 동화된 한 그루의 나무처럼 살기를 원했다. 그의 삶과 예술을 관통하는 주제는 계속하여 언급되고 있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였다.


그는 그러한 철학을 예술 활동을 통해서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알리려 함과 동시에 예술 밖의 삶에서도 활발한 환경 운동을 실천했던 적극적인 환경 운동가였다. 그는 관념과 형식을 벗어 던진 자유롭고 다양한 작품 세계를 통해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과 이상향을 끊임없이 제시하였으며, 자연보호, 산림보고, 반핵 운동 등에 앞장서 성명발표, 포스터 캠페인 제작, 시위 참여, 실천적 퍼포먼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환경운동을 하였다. 


훈데르트 바서의 페인팅에는 두 개의 모티브 그룹이 있다.

하나는 식물적 성장과 살아있는 자연을 묘사한 양식이고 다른 하나는 집, 창문과 같은 건축적 기호의 반복적 사용이다. 하인버그 원자력 발전소가 그가 참여한 반대운동으로 결국 공사가 중단되었고, 뉴질랜드와 워싱턴에서는 `훈데르트 바서 환경주간`을, 샌프란시스코는 `훈데르트 바서의 날`을 선포하기도 하였다. 식물을 단계적으로 이용한 자연정수 시스템을 개발하고, 부식토 변기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하였던 그는 유럽 각국에서 환경 보호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훈데르트 바서는 황폐해진 현대사회의 삶에서 마법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은 자연의 힘이라 굳게 믿었고 사람들이 그것을 깨달아 주기를 진정으로 바랬다.


그의 건축작품은 오스트리아 외에 독일에 많고 일본, 스위스, 미국, 뉴질랜드, 스페인 등에 있다. 우연찮게 예술의 전당에서 훈데르트 바서 한국특별전(2010. 12. 05~2011. 03. 15)이 100일간 열려서 많은 사람들이 훈데르트 바서를 보게 되어서 우리 여행팀의 훈데르트 바서 탐방이 더욱더 빛나게 되었다.


이 원고를 작성하는데 한미글로벌의 이창호 과장이 많은 도움을 줬음을 밝힌다.


o 참고 서적

 1) Hundertwasser Architecture / Taschen, 2009

 2) Hundertwasser Fairytale Houses / Harald Bohm / 2007

 3) Hundertwasser-Krawina House Vienna / Harald Bohm / 2007


o 참고 DVD

1) Hundertwasser House / SH Production / 2005

2) Kunsthauswien, A Museum As It Should Be / SH Production / 2005


o 참고 Web Site

훈데르트 바서 한국전시회 공식 홈페이지 (www.hundertwasserkorea.kr)

 

Biography: Friedensreich Hundertwasser


1928 12월 15일 Friedrich Stowasser란 이름으로 비엔나에서 출생


1938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점령 후 Obere Donaustrasse의 할머니 댁으로 이주


1948 비엔나의 Academy of Fine Arts에서 3개월을 보냄.


1949 북부이탈리아, 투스카니, 로마, 나폴리, 시칠리아 등 여행. 그만의 스타일을 발전시킴. Hundertwasser라는 이름 사용.


1951 모로코에서 겨울과 봄을 지냄. Art Club of Vienna의 회원이 됨.


1953 그의 첫 번째 나선형 그림.


1954 파리에서 그의 첫 전시회가 열림. transautomatism 이론을 발전시킴.


1958 선언문 Mouldiness Manifesto against Rationalism in Architecture를 Seckau의 대수도원 회의에서 낭독.


1961 일본 방문. 제6회 Tokyo Art Exhibition에서 마이니치상 수상. Tokyo Gallery에서의 전시회에서 큰 성공을 거둠.


1966 Ferry Radax가 Hunderwasser에 관한 그의 첫 번째 다큐멘터리 제작


1967 우간다와 수단 여행. 파리, 런던, 제네바, 베를린 순회 전시. 뮌헨에서 Speech in Nude for the Right to a Third Skin 나체로 연설


1968 비엔나에서 그의 두 번째 나체연설. Loose from Loos, A Law Permitting Individual Buildings Alterations or Architecture-Boycott Manifesto. 미국에서의 전시회를 위한 카탈로그를 준비.


1968 베니스 라군에서 Regentag호 재건조


1972 TV쇼 ‘Wunsch Dir was’에서 옥상조경과 입면디자인에 대한 설명


1973 일본 목공예 관련 첫 번째 포트폴리오 七白水 발표. 뉴질랜드에서 순회 전시.


1974 호주에서 순회 전시. 비엔나에서 전시회 Stowasser 1943 - Hundertwasser 1974와 Friedrich Stowasser 1943 - 1949 개최.


1975 일본 목공예 관련 두 번째 포트폴리오 綠の淚 발표. 뮌헨의 Haus der Kunst에서 회고전. 오스트리아 우표 디자인. 1983년까지 세계 43개국에 걸친 전시회 Austria presents Hundertwasser to the Continents 시작.


1976 Regentag호를 타고 타히티에서 뉴질랜드로 항해


1978 선언문 Peace Manifesto 발간


1979 오스트리아 체신국에서 Hundertwasser가 도안한 세네갈과 Cape Verde Islands를 위한 우표 발행. 비엔나에서 그가 디자인한 주화 5종 제작. 선언문 Manifesto Holy Shit in Pfaffikon 발표. 뉴욕에서 40점의 새 작품과 함께 Hundertwasser is Painting 순회 전시 시작.


1980 11월 18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Hundertwasser Day 선포. 워싱턴시의 Judiciary Square에서 예정된 100그루 중 12그루 식수. 미 의회 상원에서 원자력 발전을 거부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인간적 건축을 위한 생태론에 관해 연설.


1981 Grand Austrian State Prize for the Arts 수상. 원자력 발전과 거짓된 예술을 부정하는 연설. 콜로뉴, 뮌헨, 프랑크푸르트, 그라츠, 비엔나, 동베를린, 함부르크에서 생태론, 건축 그리고 예술에 대한 강연.


1982 시드니, 마닐라, 시애틀,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에서 환경보호 연설. Green Peace를 위한 Save the Whales와 Save the Seas 두 포스터 발표와 함께 샌프란시스코에서 12월 5일부터 12일까지를 Hundertwasser 주간으로 지정. 포스터 You Are a Guest of Nature 제작.


1983 국제연합을 위한 6종의 우표를 디자인. 뉴질랜드 국기 디자인으로 Koru Flag 도안.


1985 Peter Pelikan과의 협업 시작. 1년에 걸쳐 Hundertwasser House 설계작업. 프랑스 문화부로부터 Officier de L’ordre des Arts et des Letters로 임명됨. 타히티의 Musee Gauguin에서 그래픽작품 전시


1986 오스트레일리아 국기 디자인으로 Uluru - Down Under Flag 도안.


1988 International Summer Academy in Salzburg에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에 대해 강의. 오스트리아의 새로운 차량번호판 디자인.


1989 일본에서 순회 전시.


1991 리히텐슈타인의 의뢰로 Hommage au Liechtenstein 우표 시리즈 도안.


1992 4종의 오스트리아 전화카드 도안. Creative Architecture ? Eternal Longing전으로 독일 쇼핑센터 순회 전시. Hundertwasser - His Arts, His Ecology, His Architecture 토쿄 전시. 일본 TBS에서 Hundertwasser의 작품세계에 관한 방송.


1993 Manifesto and agitation against Austria’s joining the European Union 선언.


1994 오스트리아의 EU가입을 반대하는 캠페인 계속.


1995 로테르담과 뉘른베르크에서 건축모형 전시. 룩셈부르크를 위한 3종의 우표 도안.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World Summit for Social Development를 기념하는 UNO 우표 도안. 독일 Condor 항공의 의뢰로 B757 항공기 디자인.

1997 Bertelsmann Book Club을 위한 366종의 책 표지 디자인. Grand Decoration of Honour for Services to the Republic of Austria 훈장.


1998 다름슈타트의 Institute Mathidenhohe에서 회고전. 일본 Isetan Museum of Arts, Museum Eki, Sakura City Museum of Art에서 순회 전시. 이스라엘 Negeve 사막의 녹화사업을 지지하는 포스터 Among Trees You Are At Home 제작


1999 작품집 Catalogue Raisonne 레이아웃 디자인. 유전자조작을 반대하는 선언문 Creation holdsⓒ Copyright 발표. 일본에서 순회 전시.


2000 Catalogue Raisonne에 담긴 그의 작품을 위한 코멘터리 작성. 태평양을 항해 중이던 퀸 엘리자베스 2세 호에서 2월 19일 심장마비로 사망. 뉴질랜드의 튤립나무 밑에 자연과 더불어 묻힘.